본문 바로가기
리뷰

지배종 (뜻, 평점, 출연진) 디즈니 플러스 드라마

by 티오피스 2024. 5. 2.
반응형

지배종 (뜻, 평점, 출연진) 디즈니 플러스

 

지배종은 2024년 4월 10일부터 디즈니+에서 공개 된 대한민국의 SF 스릴러 드라마입니다. 공개 후 반응이 심상찮습니다.

 

지배종은  240억원이 넘는 제작비가 투입된 드라마로 한동안 방영플랫폼을 잡지 못했었는데 드디어 오픈됐네요. 총 10부작으로 기획되었고 비밀의 숲 시리즈로 장르물의 대가 이수연 작가님께서 각본을 맡고, 주지훈, 한효주, 이희준, 이무생,김상호, 박지연, 이서 배우님들께서 출연하셨습니다. 지배종 원작은 따로 없고 이수연 작가님께서 생명공학, 인공지능발달등에 영감을 받으셔서 집필한 오리지널 작품입니다. 이희준 배우님 올해 활약이 대단한거 같아요. 유명 대작에 항상 출연하시는듯.ㅎㅎ  한효주님은 무빙 대박에 이어 이번 작품으로 확실한 디즈니의 페르소나로 굳히기 들어가실거 같네요.

 

 

대략적인 줄거리는 2025년 새로운 인공 배양육의 시대를 연 생명공학기업 BF의 대표 ‘윤자유’(한효주)와 그녀에게 의도적으로 접근한 퇴역 장교 출신의 경호원 ‘우채운’(주지훈)이 의문의 죽음과 사건들에 휘말리며 배후의 실체를 쫓는 서스펜스 스릴러 드라마입니다. 

 

시대 배경이 되는 2025년은 내년인데, 엄청 근미래입니다. AI와 VR등이 적극 활용되는 세상인데 정말 그렇게 될거 같은 느낌이네요.

지배종 디즈니 플러스

지배종 뜻

지배종이라는 말 자체의 뜻은 생물학적 측면과 사회학적인 측면 두가지 측면에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생물학적인 측면에서 본다면 동물학에서 "지배종"은 특정 서식지에서 다른 종들을 지배하거나 억압하는 종을 말하는데, 육식 동물과 초식 동물의 관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현상이며,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사자는 아프리카 사바나의 지배종이며, 늑대는 북미 숲의 지배종입니다.

 

사회학적인 측면에서 "지배종"은 사회 계층에서 가장 높은 위치를 차지하고 권력과 영향력을 행사하는 집단이나 개인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지배와 피지배는 정치, 경제, 문화 등 다양한 영역에서 나타날 수 있으며, 사회 구조와 변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중세 시대에는 귀족이 지배종이었고, 현대 사회에는 자본가나 기업들이 지배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드라마에서의 지배종의 뜻도 이렇게 여러가지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드라마 속에서는 인공 배양육 기술을 통해 동물성 식품을 대체하려는 BF그룹의 행위가 비판적으로 다뤄지는데, 단순히 동물 복지 문제뿐만 아니라, 인간이 자연을 지배하고 생명체를 상품화하는 행위의 윤리적 문제를 제기합니다. "지배종"이라는 제목은 인간이 자연을 지배하려는 야망으로 인한 위험성을 경고하는 메시지라고 할 수 있습니다.

 

BF그룹은 인공 배양육 기술을 통해 식량 시장을 지배하고 막대한 이윤을 얻습니다. 이는 기업의 과도한 권력과 시장 지배력에 대한 비판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또한, 드라마 속에서는 정치와 기업의癒着, 부패 등 권력 남용의 문제 또한 다루어집니다. "지배종"이라는 제목은 권력 남용과 지배 구조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나타냅니다.

 

드라마 후반부에서는 인공지능 기술이 인간을 위협하는 존재로 등장합니다. 인공지능이 스스로 학습하고 진화하며 인간의 통제를 벗어나는 모습은 인공지능 기술의 잠재적인 위험성을 경고합니다. "지배종"이라는 제목은 인간이 창조한 기술이 인간을 지배하고 위협하는 역설적인 상황을 나타냅니다.

 

"지배종"은 인간의 본성에 대한 질문을 던집니다. 인간은 탐욕스럽고 권력욕이 강하며, 자연을 지배하고 통제하려는 본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본능은 인간에게 발전을 가져다주기도 하지만, 동시에 파멸을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드라마는 인간 본성의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을 동시에 보여주면서, 인간이 어떤 길을 선택해야 하는지에 대한 질문을 던집니다.

 

 

평점

지배종 평점

TMDB에서 70% 긍정적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굉장히 좋은 점수 입니다.

 

반응형